본문 바로가기

자녀의 마음읽기/부모의 마음가짐32

부정적인 스트레스가 실패로 이어진다.아이에게 늘 괜찮다고 말해주는 부모 되기. 부정적인 스트레스가 실패로 이어진다. 아이에게 늘 괜찮다고 말해주는 부모 되기. [월랜다 효과] 한 번의 실패 없이 평생 잘해왔던 외줄 타기 공연가인 칼 원랜다는 마지막 은퇴공연에서 멋지게 마무리해야 한다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가지고 공연을 하다 순간의 실수로 공연 중 사망하게 된다. 실패에 대한 걱정과 반드시 잘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실패의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를 '월랜다 효과'라고 한다. 아직 일어나지 않는 아이의 미래에 대해 많은 걱정을 하는건 아닌가? 학년이 올라가고 중, 고등학교 수업을 잘 이해할 수 있을까? 평소 학업에 최선을 다 했지만 시험 결과가 좋지 않으면 어쩌지? 나는 하루에도 아이의 삶에 관여하여 많은 것을 걱정하고 일어나지 않는 미래에 대해 부정적인 스트레스로 고민하기도 한다. 긍.. 2022. 12. 15.
아이들의 사회성은 친구들과의 놀이에서 시작된다. 아이들의 사회성은 친구들과의 놀이에서 시작된다.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이 놀 때 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아도 늘 새로운 방법으로 놀이를 한다. 놀이는 수학처럼 공식이나 정답이 없다. 아이들끼리 서로 규칙을 정하고 그때그때 다른 상황이 연출되며 새로운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사회성이 만들어진다. 아이들의 성향도 중요하지만 경험이 많고 많이 놀아본 아이는 또래 아이보다 쉽게 문제를 해결하곤 한다. 요즘 아이들이 사회성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놀이의 시간이 줄어들면서 또래 아이들과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시간 역시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매일 정해진 양의 공부를 해야 하고, 학원을 가야 하는 아이들, 친구들과 놀며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게임과 스마트폰과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 코로나로 인해 학교마.. 2022. 12. 13.
아이에게 지나친 감정자극은 독이다 아이에게 지나친 감정 자극은 독이다 다양한 경험을 할수록 감정은 풍부해진다. '다문박식'이라는 말은 보고 들은 것이 많으면 아는 것이 풍부하다는 말이 있다. 요즘 엄마들은 아이를 위해 많은 것을 제공해주고, 직접 만져볼 수 있는 기회, 맛볼 수 있는 시간들, 그밖에 듣고 보는 등의 다양한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통해 아이는 전에 느끼지 못했던 새로운 감정을 느끼며 세상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사고가 넓어진다.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는 이유 중 하나 역시 실제 경험하지 못하는 것들을 책에서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이야기를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다는 점이 감정의 폭을 넓어 나가기에 책만 한 것이 없어서이다. 그런데 너무나 과도한 감정 자극으로 요즘 문제가 되는 것들이 있다. 너무 .. 2022. 12. 11.
아이와 대화에서 선 넘지 않기 아이와 대화에서 선 넘지 않기 가끔 아이는 나와의 대화에서 "엄마 선 넘지 마세요!"라는 말을 종종 하곤 한다. 아이든 어른이든 가족이든 친구든 우리는 깨뜨리고 싶지 않은 관계일수록 서로 간의 예의를 지키며 적정거리를 유지하며 대화를 해야 한다. 그러나 가끔 화가 난다고 해서, 아이가 잘못을 했다고 해서 욱하는 마음에 선을 넘거나 아이를 배려하지 않고 말을 함부로 뱉을 때가 있다. 이럴 땐 나의 감정 하나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어른의 모습을 보인 것 같아 반성하게 된다. 아이와 대화를 하다보면 격해지는 지점이 생기고 이는 곧 감정의 폭발로 이어지기도 한다. 대부분 아이를 다그치거나 심한 화를 내며 서로 감정이 상한채 마무리가 된다. 내가 아이를 향한 화가 조절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아이를 .. 2022.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