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녀의 마음읽기/부모의 마음가짐

아이들의 사회성은 친구들과의 놀이에서 시작된다.

by BEOM JUM MA 2022. 12. 13.
반응형



아이들의 사회성은 친구들과의 놀이에서 시작된다.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이 놀 때 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아도 늘 새로운 방법으로 놀이를 한다. 놀이는 수학처럼 공식이나 정답이 없다. 아이들끼리 서로 규칙을 정하고 그때그때 다른 상황이 연출되며 새로운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사회성이 만들어진다. 아이들의 성향도 중요하지만 경험이 많고 많이 놀아본 아이는 또래 아이보다 쉽게 문제를 해결하곤 한다.

요즘 아이들이 사회성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놀이의 시간이 줄어들면서 또래 아이들과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시간 역시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매일 정해진 양의 공부를 해야 하고, 학원을 가야 하는 아이들, 친구들과 놀며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게임과 스마트폰과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 코로나로
인해 학교마저 가지 않고 반 친구들과단체 활동이 줄어듦에 따라 사회 속에서 문제 해결방법을 경험할 시간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부모라면 아이가 친구들과 원만하게 지내기를 원할 것이다. 아이가 친구로 인해 상처받고 소외되기를 원치 않는다. 부모의 바람에도 아이들의 사회성이 잘 길러지지 못하는 건 부모가 친구들과의 놀이가 아이 삶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보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것에 집중하고 있어서 이다. 부모가 정해준 길에 아이를 맞추려는 부모의 일방적인 사랑의 방식이 과연 아이가 바라는 방향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사회성은 혼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 내가 어릴 적엔 집안에 형제들이 많았다. 꼭 친구와 사회성을 만들지 못할 땐 형제들과 놀이를 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연습을 했다. 요즘은 외동인 아이들이 많아지면서 가정에서 사회성을 배우기는 부족하다. 관계를 맺을 대상이 필요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욕구가 부족한 경우 대인관계 능력 문제뿐 아니라 학업에 집중력도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조언한다.

사회성도 습득할 수 있는 시기가 있다고 한다. 36개월에 시작된 사회관계는 초등학교 저학년이 되면 본격적으로 사회성이 형성된다. 이 시기에 충분히 놀지 못하는 아이는 사춘기 시기에 모든 걸 내려놓고 더 강하고 충동적인 놀이를 하려 할 것이다.

너무 늦게 놀이에 빠지면 정작 아이에게 중요한 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시기에 맞는 충분한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사춘기를 무난히 지나 성인이 된 이후에도 사회에서 잘 적응하는 아이로 키우도록 부모가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