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마음읽기80 아이와 스킨십을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아이와 스킨십을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나의 부모세대에는 부모와 스킨십을 하거나 ' 사랑해'라는 말은 그저 낯간지러운 말이라 생각했었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스킨십이 아이들의 긍정적인 정서를 만들어 준다는 여러 연구결과를 접하게 된다. 스킨십을 하게 되면 옥시토신이라는 사랑 호르몬이 뇌에 분비되는데, 이는 타인과의 관계에 안정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학습을 기억하는 능력도 높아지게 되고, 아이가 자라면서 스트레스에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는 아이로 성장한다고 한다. 적극적인 애정표현을 받아보지 못한 지금의 부모세대들은 아이에게 어떻게 스킨십을 시작하면 좋은지 어렵기만 하다. 가볍게 다가가기 쉬운 스킨십을 조금씩 실천하다 보면 아이에게 부모의 사랑이 전해지면서 아이.. 2022. 12. 27. 아이와 올바른 대화 방법 아이와 올바른 대화 방법 미국의 브루킹스 연구소와 전 세계 교육기관은 말했다. "21세기를 살아갈 때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스킬은 대화하는 능력이다" 대화는 서로의 생각을 모아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구글, 페이스북등 글로벌 기업의 대표들이나 기업가들은 토론을 좋아한다. 우리가 좋아하는 유대인 교육법에서도 가장 강조하는 것이 대화와 토론이다. 대화를 하기 가장 적절한 식사시간에 대화를 통해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우는 것에 중점을 둔다. 1. 하루 10분 아이와 대화하자. "학원숙제 어서 해!" "학원 늦겠다 빨리 가!" 등의 명령이 주가 되는 대화표현보다는 "그랬어? 재밌었겠다" "정말 힘들었겠다" 정말 재밌었겠다" 등의 맞장구를 쳐주며 아이의 이야기에 관심을 갖는.. 2022. 12. 25. 아이에게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주자 어려움을 해결하는 과정을 겪지 않으려는 아이들, 아이에게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주자. 우리는 나이가 많든 적든 살아가며 새로운 문제를 마주하고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성장한다. 나는 살면서 많은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문제에 대한 답을 모를때가 많다. 아이들 역시 학교에서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문제들, 학교에서 학업에 대한 고민들, 부모와 의견충돌등 생각해야 하는 문제들에 끊임없이 맞닥뜨리게 된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생각의 과정과 실수를 하는 경험을 통해 해결방법을 찾아가야 한다. 아장아장 걸음마를 시작한 아이가 넘어졌을 때 스스로 일어나려는 과정을 통해 넘어지고 일어나는 것에 익숙해지면서 넘어지는 것에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넘어지는 것이 두렵지 않은 아이는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 2022. 12. 21. 목표를 향한 첫걸음은 행동이다 목표를 향한 첫걸음은 행동이다 매년 새해가 되면 새로운 계획과 목표를 가지고 한 해를 시작한다. 찬란한 계획을 가지고 시작했던 2022년도 얼마 남지 않았다. 과연 올해에 내가 계획했던 일들에 얼마나 많이 다가갔을까? 많은 사람들이 꿈을 꾸고, 그 꿈을 이루고자 노력한다. 매년 성과 없이 마무리된 목표를 다가오는 새해에도 어김없이 계획할 것이다. 새해에 내가 세운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면 계획을 실행에 옮겨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목표나 꿈을 이루기 위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그건 그냥 꿈일 뿐이다. 아이들 역시 자신에 맞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목표 달성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관점에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부모는 아이의 멋진 미래를 위해 높은 목표를.. 2022. 12. 20. 이전 1 2 3 4 5 6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