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마음읽기/부모의 마음가짐

부정적인 스트레스가 실패로 이어진다.아이에게 늘 괜찮다고 말해주는 부모 되기.

BEOM JUM MA 2022. 12. 15. 06:00
반응형




부정적인 스트레스가 실패로 이어진다. 아이에게 늘 괜찮다고 말해주는 부모 되기.


[월랜다 효과]

한 번의 실패 없이 평생 잘해왔던 외줄 타기 공연가인 칼 원랜다는 마지막 은퇴공연에서 멋지게 마무리해야 한다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가지고 공연을 하다 순간의 실수로 공연 중 사망하게 된다. 실패에 대한 걱정과 반드시 잘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실패의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를 '월랜다 효과'라고 한다.



아직 일어나지 않는 아이의 미래에 대해 많은 걱정을 하는건 아닌가? 학년이 올라가고 중, 고등학교 수업을 잘 이해할 수 있을까? 평소 학업에 최선을 다 했지만 시험 결과가 좋지 않으면 어쩌지? 나는 하루에도 아이의 삶에 관여하여 많은 것을 걱정하고 일어나지 않는 미래에 대해 부정적인 스트레스로 고민하기도 한다.

긍정적인 스트레스는 문제를 해결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반대로 부정적인 스트레스는 오히려 나 자신에게 독이 되어 돌아오기도 한다. 이성적인 판단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시각의 스트레스는 실패를 걱정하는 생각들로 결국 실패하는 상황을 만들게 된다. 외줄 타기 공연 가인 월랜다 역시 평생을 실수 없이 해왔던 공연이었음에도 더 잘해야 한다, 혹여나 실패하면 어쩌지? 와 같은 실패를 할 것만 같은 낮은 가능성에 치우친 부정적인 생각이 그의 성공에 독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부모의 할 일



심한 긴장감은 아이의 익숙한 생활을 무너뜨리는 심리적인 반응이다. 평소에 공부를 열심히 하던 아이도 시험만 되면 긴장을 하게 되어 실력 발휘를 못할 때가 있다. 매일 반복적인 훈련을 하는 운동선수들도 시합 당일 반드시 이겨야 한다라는 압박이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상황임에도 실수를 하게 만든다. 무언가를 잘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좋은 결과는 꾸준히 노력했기에 얻을 수 있는 값진 결과이다. 실패를 하지 않을까 하는 부정적인 생각이 사람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노력에 대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에도 노력을 의심하게 만들기도 한다.

부모는 아이가 부정적인 고민과 걱정에 빠져있을 때 아이의 사고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주자. 잘하지 못하고 포기하려는 마음이 있는 아이들은 조금씩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잘하는 아이들은 지속된 노력에 대해 믿음을 심어주는 것이 좋다. 자신이 두려워하는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걱정하는 사실들에 부모의 진심 어린 조언이 함께한다면 아이는 조금씩 받아들이는 여유가 생길 것이다. 사람은 인정하는 순간 긴장감이 사라지게 된다. 아이에게 늘 괜찮다고 말해주는 부모가 되자.

300x250